질환백과
- 
								경골과 비골 골절(Fracture of tibia & fibula)- 증상
- 손상 부위 통증, 하지부종, 다리변형, 손상 부위 출혈
- 관련질환
- 대퇴 골절, 원위 요골과 척골 골절, 골절 후 부정 유합, 불유합
- 진료과
- 정형외과
- 동의어
- 경골 골절,비골 골절
 
- 정의
- 하퇴골(무릎 밑부터 발목까지의 다리뼈)은 경골과 비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경골(정강이뼈)은 내측에 있는 굵은 뼈이며, 비골은 하퇴의 외측에 있는 가는 뼈입니다. 이 뼈들이 연속성을 잃은 상태를 골절이라고 합니다.  
- 원인
- 교통사고, 운동 중 손상, 추락 사고나 스키 사고 등으로 경골과 비골이 골절될 수 있습니다. 경골과 비골이 함께 골절될 수도 있고, 그중 하나만 골절될 수도 있습니다. 
- 증상
- 경골과 비골이 골절되면 골절 부위에 심한 통증이 발생합니다. 출혈로 인한 부기가 생길 수 있고, 골절된 부위의 다리 모양이 변형될 수 있습니다. 
- 진단
- 골절이 의심되면 보통 단순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여 진단합니다. 진단 결과 골절이 명확해지면 골절 부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부목으로 고정합니다. - 앞부분의 피부가 얇은 경골이 심하게 골절되었을 경우, 골절되어 날카로운 뼈가 피부를 뚫고 밖으로 돌출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경우를 개방성 골절이라고 합니다.  
- 치료
- 골절이 의심되면 119나 응급의료진이 올 때까지 골절된 다리를 움직이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. 골절 부위를 고정하지 않은 채로 움직이면 연부 조직이 날카로운 골편에 의해 더욱 손상되기 때문입니다. 환자를 움직여야 할 때는 허벅지부터 발목까지 부목으로 고정해야 합니다. 또한 환자의 발과 다리에 혈액 순환이 잘 이루어지는지 자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 골절의 치료 방법은 손상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. - 1. 비수술적 방법 
 치료자가 손으로 도수 정복을 한 뒤, 석고 붕대로 고정하여 치료하는 방법입니다. 골절의 전위가 심하지 않고, 연부 조직의 상태가 양호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.- 2. 수술적 방법 
 ① 외고정 방법
 연부 조직 손상이 심할 때 주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. 골절에 동반된 연부 조직이 심하게 손상되면, 골절된 뼈보다도 연부 조직을 치유하는 것이 더 문제가 됩니다. 이 경우 수술로 인한 더 이상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피부를 통해 금속 핀을 삽입하고 피부 밖에서 이 금속 핀들을 강한 금속 틀로 고정하여 뼈를 고정합니다. 또한 매일 상태 변화에 따라 연부 조직을 치료합니다.- ② 내고정 방법 
 연부 조직 손상이 안정되거나, 경미한 골절인 경우에 적용되는 고정 방법입니다. 피부 속으로 금속 고정물을 삽입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금속이 보이지 않습니다.
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.콘텐츠 제공 문의하기


















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