질환백과
- 
								가습기 살균제 연관 폐질환(Humidifier disinfectant-associated lung injury)- 증상
- 심부전, 기침, 호흡곤란, 폐동맥 고혈압, 다발성 장기부전 증상
- 관련질환
- 폐렴,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, 폐성 고혈압, 특발성 폐섬유화증
- 진료과
- 호흡기내과
- 동의어
- 가습기살균제 폐손상,가습기살균제 폐질환,신종폐질환,원인미상 폐섬유화증,원인미상 폐손상,원인불명 중증 폐질환,원인불명 폐손상,원인불명 폐질환,임산부 폐질환,임산부폐렴,원인불명 신종 폐질환
 
- 정의
- 2011년 겨울에서 봄에 이르는 기간에 기저 질환이 없었던 젊은 여성을 중심으로 과거에 경험한 적 없는 치명적인 폐 질환이 발생하였습니다. 감기처럼 시작하지만, 기도를 중심으로 생긴 염증이 급속히 폐로 퍼지면서 폐가 단단해지는 폐 섬유화를 거쳐 호흡이 불가능해지고, 결국 사망까지 이르는 치명적인 질환입니다. - 2011년 4월, 원인도 모른 채 폐 섬유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는 입원 환자가 보고된 후 질병관리본부에서 총 28건의 동일한 사례를 확인했습니다. 여기에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에 직접 신고된 사례 중 원인 불명 폐 질환으로 확인된 3건의 사례를 더하여 총 31건의 사례가 확인되었습니다.  
- 원인
- 2011년 1월~6월 사이 동일한 질병을 겪었던 것으로 의심되는 환자들은 대부분 20대 후반~30대 중반의 여성이었으며, 이 중 10명이 주산기 산모였습니다. 이 환자들 중 4명의 경우 자녀가 동일한 질환으로 소아과에서 치료하고 있었고, 1명의 경우 일가족 3명이 동일한 질환으로 진단받은 상황이었습니다. - 환자들이 재택 시간이 많은 주산기 여성이었다는 점, 가족 중에서 재택 생활자인 영유아들과 함께 집단 발생한 사례가 있었다는 점, 겨울에 집중적으로 발병한 점 등으로 미루어 겨울철과 연관된 가정 내 환경 요인이 원인이라고 추측하였습니다. 환자들의 거주지, 직업력, 약물 복용력에는 특기할 점이 없었으나, 병력 청취가 확인된 환자들이 공통적으로 겨울철에 가습기 및 가습기 세정제를 사용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. - 신종 폐 질환의 원인으로 의심된 가습기 살균제를 동물에게 실험한 결과, 신종 폐 질환으로 사망한 출산 전후의 산모들에게 나타났던 것과 아주 유사한 폐 섬유화와 호흡곤란 증세가 확인되었습니다. 이 실험을 근거로 해당 가습기 살균제는 강제 수거되었습니다. 
- 증상
- 초기에는 대부분 기침 증상을 보이다가 이후 호흡곤란이 나타납니다. 증상이 악화되면 폐동맥 고혈압과 우심부전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. 또한 호흡부전으로 인해 다발성 장기 부전 등의 합병증이 생기기도 합니다.  
- 진단
- 흉부 방사선 촬영이나 흉부 CT, 폐조직 검사를 통해 폐 질환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.  
- 치료
- 우선 원인 물질을 격리해야 하며, 필수적으로 금연해야 합니다. 호흡 곤란을 완화하기 위해 산소를 공급합니다. 호흡부전이 심해지면 기도 삽관을 통한 기계환기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.  - 폐의 염증을 완화하기 위해 스테로이드와 항생제, 항바이러스제, 면역 억제제 등의 약물을 투여합니다. 폐 섬유화가 심해 정상적인 호흡이 불가능한 경우 폐 이식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.  
- 경과
- 초기 증상은 상기도 감염과, 입원 시점의 증상은 급성 간질성 폐렴과 유사하지만 영상의학 및 병리학적으로 이들과 구별되는 질환입니다. 환자는 기존 약물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았고, 일단 기계 환기 치료가 필요한 상황이 되면 폐 이식 없이는 전원이 사망하였습니다. 이는 호흡기 영역 중 가장 치료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진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보다도 예후가 불량한 것입니다. 
- 주의사항
- 환자들은 발병 전 건강인이었습니다. 이들과 유사한 환경에서는 누구나 이 치명적인 폐 질환으로 이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. 따라서 원인으로 확인된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
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.콘텐츠 제공 문의하기






![잿빛 하늘의 공습, 미세먼지 질환 [건강플러스] 미리보기](https://img.youtube.com/vi/S1r-43QKzQ0/mqdefault.jpg)











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