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환자외상외과 수련과정
전임의 수련과정
Surgical Critical Care 전임의 교육 프로그램
■ Program Director (지도전문의) : 홍석경
■ Associate Program Director : 이학재
1. 수련기간 및 정원
(1) 수련기간: 2년
(2) 정원: 1년차-3명, 2년차-2명
2. 수련목표
중환자·외상외과는 외과중환자를 치료하는 과로 중환자 집중치료, 중증 외상환자, 급성 복증환자의 진단 및 수술을 포함한 집중치료를 포괄적으로 시행한다. 2년의 수련기간 동안 외과의사로서 중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전문적 지식과 수술을 포함한 술기를 습득하여 포괄적인 진료를 수행하고, 관련분야의 교육 및 연구를 주도적으로 진행할 뿐만 아니라 팀을 이끌어 가는 리더로서의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이다.
2-1. 수련과정의 세부목표.
(1) 1년차
- 1) 외과중환자의 진단과 치료를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.
- 2) 중증외상환자의 진단과 치료를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.
- 3) 급성복증환자의 진단과 치료를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.
- 4) 전공의/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중환자·외상 교육을 시행할 수 있다.
- 5) 집담회 및 학술대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연구논문을 발표한다.
(2) 2년차
- 1) 중증외상환자 및 급성복증환자의 다양한 수술술기를 수행할 수 있다.
- 2) 중환자/중증외상/급성복증환자의 표준화 진료지침 개발에 참여한다.
- 3) 전공의/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중환자·외상 교육을 시행할 수 있다.
- 4) 집담회 및 학술대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연구논문을 발표한다.
- 5) 임상능력을 기반으로 임상 및 기초연구를 주도적으로 시행하며 논문집필을 수행하는 능력을 함양한다.
3. 수련 프로그램
3-1. 진료
- (1) 의학적 지식
- 1) 쇼크를 진단하고 감별진단을 통해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.
- 2) 진통/진정/섬망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.
- 3) 의식저하/경련 환자의 초기평가 및 뇌영상(CT, MRI) 기본적인 판독을 시행할 수 있다.
- 4) 뇌압상승 시 병태생리를 이해하고 응급조치를 시행할 수 있다.
- 5) 중환자의 대사변화 및 영양치료를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시행할 수 있다.
- 6) 부정맥의 접근법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시행할 수 있다.
- 7) 심부정맥혈전증과 폐색전증을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다.
- 8) 호흡부전환자에게 기계환기 적용 및 이탈을 시행할 수 있다.
- 9) ARDS를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.
- 10) 복강내감염을 진단하고 원인 제거를 포함한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.
- 11) 복강내고압의 원인 감별 및 개방복부관리를 포함한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.
- 12) 급성 신손상의 진단 및 치료(신대체요법)를 시행할 수 있다.
- 13) 급성 간부전의 진단 및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.
- 14) 병원 감염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예방 및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.
- 15) 항균제의 작용 기전 및 부작용을 인지하고 감염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다.
- 16) 패혈증의 진단 및 치료를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시행할 수 있다.
- 17) 중환자재활의 효과와 치료를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.
- 18) 중증외상환자의 치료를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.
- 19) 중증외상환자의 일차조사, 이차조사를 시행할 수 있다.
- 20) 중증외상환자의 쇼크 및 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다.
- 21) 두부/척추/흉부/복부/골반 외상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초기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.
- 22) 급성복증환자의 진단 및 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.
- (2) 단독으로 시행할 수 있는 시술/술기
- 1) 심혈관계: 심폐소생술, 혈역학적 감시, 쇼크의 소생술, 중심정맥관/동맥관/PICC삽입
- 2) 호흡기계: 기관삽관술, 윤상갑상연골절개, 기관절개술, 기관지 내시경, 흉수천자, 흉관삽관
- 3) 위장관계: 임시폐복, 손상통제수술, 급성복증 개복술
- 4) 기타: 중환자 초음파, 근막절개술, 광범위 괴사성 연부조직 제거
- (3) 전임의 필수 술기 및 수술(2년): 서울아산병원/강릉아산병원 통합교육
- ① 중환자실
-
중환자실 술기 참관/수행 횟수 중환자초음파 참관 3 수행 10 기관절개술
(경피적기관절개술 포함)
참관 3 수행 10 임시폐복 참관 1 수행 3 흉관삽관
(흉관천자 포함)
참관 1 수행 3 기관지내시경 참관 10 수행 5 - ② 수술
-
수술명 참관/수행 횟수 소장절제술 참관 1 수행 3 소장루 조형술 참관 1 수행 2 대장루 조형술 참관 1 수행 2 우측결장반절제술 참관 2 수행 2 하트만수술 참관 2 수행 2 충수절제술 참관 1 수행 2 담낭절제술 수행 5 위천공 일차 봉합술 수행 1 아전위절제술 참관 2 손상통제수술 참관 1 수행 1 전복막거즈삽입 참관 1 수행 1
-
- ① 중환자실
(4) 중환자의 안전과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숙지한다.
- 1) 환자, 보호자 면담
- 2) 타 의료진과의 원활한 소통 및 협진
- 3) 중환자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의료사고 예방
- 4) 중환자실 내 교차 감염방지
- 5) 질병과 관련된 보험과 법적 문제해결
- 6) 소생불가환자의 연명치료 중단
5) 파견 프로그램
- (1) 강릉아산병원 순환근무
- 1) 기간: 2~3개월/1년
- 2) 외과중환자 집중치료 및 급성복증 수술 술기 습득 및 집도
- 3) 수련과정
- - 주간 응급실에 오는 환자 담당전문의로서 응급환자 진단, 수술, 퇴원 결정하고 진행
- - 월~목 응급실 당직 배정 (금~일 까지는 backup staff 부재인 경우가 많아 당직 제외)
- - 수술의 경우 back up staff 지정하여 수술별로 정해진 observation, hand-on 과정을 거친 뒤 직접 집도해 볼 수 있도록 기회 제공
- (필요시 언제든 staff backup 가능)
- - 주간 수술방에서 정규수술 파트별로 3~4주간 1st assist 및 hand-on 교육
- - 주간 응급실 환자 notify 받으면 입원시키고 수술 결정 및 진행 (Backup staff arrange)
- - 응급수술이 생기면 정규수술에 우선함.
- [주간시간표(예상)]
-
월 화 수 목 금 주말 7:30-8:00
Staff회의 M&M 격주로
중환자실
on-call
당직
8:00-10:00
오전회진 10:00-13:00
응급실 & 수술 13:00-14:00
응급실 & 수술 Staff Lecture &
Journal Review
응급실 & 수술 14:00-17:00
응급실 & 수술 야간
당직표에 따라 당직 진행 - 외과 필수 응급수술 assist, backup 필수 횟수 (이후 자율적으로 진행)
분야 수술명 횟수 위장관(3~4주) Stomach primary repair & Omentopexy Backup 3회 Subtotal gastrectomy 1st assist 2회 간담췌(3~4주) Laparoscopic & Open cholecystectomy Backup
5회 대장항문(3~4주) Rt. Hemicolectomy & ICR 1st assist
Backup
2회
2회
LAR & AR 1st assist 5회 Hartmann’s operation 1st assist
Backup
2회
2회
Total colectomy 1st assist
Backup
2회
1회
Stomy formation Backup 2회 기타(수시) Small bowel resection and anastomosis Backup 2회 Laparoscopic & Open appendectomy Backup 2회 (2) 외상센터 파견
1) 기간: 2주
2) 대상: 국내 권역 외상센터 중 선택하여 파견 진행
3) 권역 외상센터의 시스템 견학 및 외상환자 진료 및 수술 등 참관
- 1) 기간: 2주
- 2) 대상: 외상이나 중환자실 진료와 관련된 타부서 파견 (MICU, CS, OS, VAS, KT분과 등)
-
3-2. 학술
1. 주중 일정
|
월 | 화 | 수 | 목 | 금 |
---|---|---|---|---|---|
7:00-8:00 |
SGR | ||||
8:00-9:00 |
오전회진 | ||||
9:00-10:00 |
진료 및 시술 | ||||
10:00-10:30 |
보호자 면담 | ||||
10:30-11:00 |
진료 및 시술 | NST 회진 | 진료 및 시술 | NST회진 | 진료 및 시술 |
11:00-12:00 |
저널컨퍼런스 | 진료 및 시술 | 저널컨퍼런스 | ATLS북리딩 | |
12:00-13:00 |
점심식사 | ||||
13:00-14:00 |
진료 및 시술 |
진료 및 시술 |
진료 및 시술 |
진료 및 시술 |
|
14:00-15:00 |
영상컨퍼런스 | 연구모임 | 영상컨퍼런스 | ||
15:00-16:00 |
감염컨퍼런스 | 진료 및 시술 | 감염컨퍼런스 | ||
16:00-17:00 |
오후회진 | ||||
17:00-18:00 |
외상컨퍼런스 |
- 1)저널컨퍼런스
- - 시간: 월, 목 오전 11:00~12:00
- - 장소: 중환자실 회의실
- - 내용: 중환자실 진료 관련 orientation 및 최신 논문 review
- 2) NST 회진
- - 시간: 매주 2회 (월, 목 10:30~11:30)
- - 장소: SICU2 회의실
- - 내용: 외과중환자(SICU I, II)들을 중심으로 영양불량고위험 환자들을 대상으로 영양팀, 약제팀, 중환자간호팀으로 구성된
- 영양집중지원팀(NST)이 다학제간진료를 시행함
- 3) 영상컨퍼런스
- - 시간: 매주 월, 목 오후 14:30~15:00
- - 장소: SICU2 회의실
- - 내용: 외과중환자를 대상으로 영상의학과와 함께 관련 CT 및 MR등 영상검사에 대해 토의함.
- 4) 감염컨퍼런스
- - 시간: 매주 월, 목 오후 15:00~16:00
- - 장소: SICU2 회의실
- - 내용: 외과중환자를 대상으로 감염내과와 함께 감염 및 항생제 사용에 대해 토의함.
- 5) 외상컨퍼런스
- - 시간: 매월 넷째주 월요일 17:00~18:00
- - 장소: 중환자실 회의실
- - 내용: 중증외상환자들을 대상으로 관련된 외상관련 의료진이 모여 외상환자의 증례토의 및 강의를 시행함.
- 6) 중환자실 월례회의
- - 시간: 월 1회 (매달 마지막 월요일 오후 13:00~13:30)
- - 장소: 중환자실 회의실
- - 내용: 중환자외상외과 교수, 전임의, 전공의 및 중환자실 간호사들이 참석하여 중환자실내의 환자 및 병상현황, 감염현황, M&M,
- 기타 현안에 대해 논의함.
- 7) 중환자재활 월례회의
- - 시간: 월 1회 (매달 첫째주 목요일 오후 12:00~13:00)
- - 장소: 중환자실 회의실
- - 내용: 중환자재활팀 (중환자외상외과 의료진, 재활의학과 의료진, 중환자간호팀, 물리치료팀이 중환자재활 현황 공유, 이상반응 점검,
- 추후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한다.)
- 8) SGR
- - 시간: 매주 수요일 오전 07:00~08:00
- - 장소: 동관6층 소강당
- - 내용: 외과의 분야별 최근 지견을 강의한다.
3-4. 연구 및 국내, 해외 학술행사 참여
- (1) 연구
- 1) 중환자와 증증외상환자, 급성복증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임상실험에 참여한다.
- 2) 매년 1개월의 연구기간을 가지고, 임상 및 기초 연구에 필요한 발판을 형성한다.
- 3) 중환자와 중증외상환자, 급성복증 환자의 표준화 지침서 마련에 적극 참여한다.
- 4) 수련기간동안 원저 1편 이상 국내외 관련 학술지에 개제한다.
- (2)국내, 해외 학술 행사
- 1) 국내 및 해외에서 열리는 중환자 및 외상, 응급수술 관련 학술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.
2) 연 1회 이상 해외 학술대회에 구연 및 포스터 발표를 통해 학술대회에 참석한다
(3) 관련 학술대회
국내 학술대회 | 국외 학술대회 |
---|---|
대한중환자의학회(KSCCM) | The Society of Critical Care Medicine (SCCM) |
대한외상중환자외과학회(KSACS) | The European Society of Intensive Care Medicine (ESICM) |
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(KSPEN) |
International Symposium on Intensive Care & Emergency Medicine (ISICEM) |
대한외과대사영양학회 |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Surgery of Trauma (AAST) |
대한중환자재활학회 | World Trauma Congress (WTC) |
대한외상학회 | European Society for Trauma and Emergency Surgery (ESTES) |
대한외과학회 | World Society of Emergency Surgery (WSES) |
The American Society for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(ASPEN) | |
The European Society for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(ESPEN) |
4. 임상강사 근무수칙
임상강사의 근무수칙은 크게 병원 전체 전공의 근무수칙과 개별 과 근무수칙으로 구분된다.
* 개별 과의 근무수칙은 병원 전체 근무수칙에 위배되어서는 안된다. 병원 전체의 근무수칙은 임상강사 복무규정에 명시되어 있으며,
기타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병원의 직원 근무규정을 따른다.
* 위의 규정에 따라 다음의 항목은 병원 전체의 임상강사 복무규정을 따른다.
- - 복무기간 및 재임용
- - 태도 및 복장
- - 급여 및 상여금
- - 휴가 및 병가
- - 학회참석 및 학회보조금
- - 포상 및 징계
5. 직무기술서
- (1) 진료의 의무
- 1) 07:00 AM ~ 06:00 PM 까지를 주간근무 시간으로 한다.
- 2) 중환실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전공의들을 지도하면서 적절한 처치를 시행하고 치료계획을 세운다.
- 3) 병동 및 응급실의 중환자 발생 시 주도적으로 감별진단 및 치료를 시행한다.
- 4) 중증외상 환자가 응급실에 내원한 경우 일차응답에 응하여 진료와 치료를 주도적으로 한다.
- 5) 1년차
- A. 중환자실 내 집중치료를 위한 지식과 시술을 습득한다.
- B. 연구 및 타과/타기관 파견근무를 2달 이상 시행한다.
- 6) 2년차
- A. 중증회상 및 급성복증환자의 처치 및 수술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.
- B. 연구 및 타과/타기관 파견근무를 2달 이상 시행한다.
- C. 전공의 교육을 담당한다.
- (2) 학술, 연구의 의무
- 1) 과내, 과외에서 실시되는 학술행사와 연구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을 원칙으로 한다.
- 2) 매월 시행하는 SICU 월례회의, ACS 월례회의에서 M&M 케이스를 발표한다.
- 3) 연구모임에서 연구진행사항을 발표한다.
- 4) 매년 학회발표 3회(국제학회 1편, 국내학회 2회)의 의무를 원칙으로 한다.
- 5) 임상, 동물실험을 통해 1년에 1편이상 제1저자 논문을 게재한다.
- 6) 월 1 회 중환자실 전공의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다.
6. 임상강사 평가 기준
세부항목 | 해당란에 V 하여 주십시오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
세부항목 | Poor | Fair | Good | Excellent | |
기본소양 및 근무자세 |
출퇴근 및 근무의 성실성 | ||||
환자 및 보호자와의 관계(윤리성, 친절성) | |||||
의료인력과의 원만한 관계유지 | |||||
환자의 안전과 인권을 위한 노력 | |||||
진료 | 초기평가 및 검사 결과 해석 능력 | ||||
치료방침 결정 능력 | |||||
시술 및 수술 수행 능력 | |||||
교육자적 능력(학생 및 전공의 교육) | |||||
의무기록 작성 |
|||||
학술 | 의학적 기본 지식 | ||||
근거에 따른 문제 해결 태도 (Evidence based medicine) |
|||||
집담회 참석 및 토론 능력 | |||||
학술행사 참여 및 발표력 | |||||
연구 | 연구 구상 및 설계 능력 | ||||
임상 연구 수행 능력 | |||||
기초 연구 수행 능력 | |||||
논문작성능력 |